슬링(sling)런너(runner)
연결줄(runner) 이라고도 부르는 슬링(sling)은 웨빙이나 코드로 만는 긴 끈으로 등반장비 중에서 가장 많이 쓰는 것 중 하나다. 등반중에 이런 연결줄로 확보물과 카라비너를 잇고, 나무나 바위에 둘러 확보지점을 만들며 때로는 위급하고 중요한 연결에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인다.
슬링은 보통 테이프라고 부르는 튜블러 웨빙(tubular webbing :원통모양으로 짠 것,그림 3-11b)또는 플레이트 웨빙(Plate webbing :통째로 짠 것.그림 3-11a)과 짠 로프와 같은 구조와 모양을 하고 있는 코드 슬링(code.그림 3-12)이 있다.웨빙은 폭9/16인치~1인치를 많이 쓰고 아주 강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코드는 굵기를 3mm~9mm로 만들지만,굵기가 7mm가 안되는 코드는 등반자가 떨어질 때 충격을 받거나 큰 충격이 갈 만한 곳에는 쓰지 말아야 한다.
장비점에서 파는 박음질한 연결줄(그림3-13bd)은 매듭을 해서 만든 연결줄보다 가볍과 산뜻하며 풀릴 위험이 없고 쓰기도 편하다. 박음질한 연결줄은 처음에는 매듭으로 만든 것에 비해 강도가 강하지만 쓰다 보면 박음질실이 닳아 강도가 많이 떨어진다.매듭을 해서 만든 연결줄이 박음질한 연결줄보다 좋은 점도 있다. 값이 싸고 매듭을 풀어서 바위나 나무에 묶어 쓸 수도 있고 몇 개를 풀어 이으면 더 긴 연결줄로 만들 수 있다.
이따금 사람들 중에 직접 박음질해서 연결줄을 만들어 쓰는 경우가 있는데. 무조건 촘촘히 박음질 한다고 튿어지지 않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촘촘히 박음질한 것이 웨빙의 짜여진 조직을 약하게 하여 튿어질 위험이 있으니까 연결줄은 직접 박음질해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글 :암벽 등반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