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봉 정상 바위에 새겨진
독립운동가 정재용(鄭在鎔) 선생이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두 줄의 글씨  그리고 이 글씨의 의미는?

서울의 삼각산 인수봉, 그 빼어난 위용만큼 많은 암벽 등반가들로 부터 사랑을 받고 있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암벽등반이 많은 바위이며, 결코 전문 등반교육을 받지 않고서는 오를 수 없는 그런 바위이다.어제.11월11일 나는 이곳을 다녀오면서 한 가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평소 같으면 간단히 점심 먹고 추위 때문에 하강하기 바쁘지만, 이날은 인수봉 정상에 얹혀있는 맨 꼭대기 바위를 처음으로 올라가 본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수봉이라는 거대한 바위 위에는 고인돌 처럼 아래 굄돌이 박혀있고 위에 커다란 바위가 얹혀있다.그리고 한 여름이면 이곳에 들어가 뜨거운 햇빛을 피하기도 하고 휴식을 취하는 곳이기도 하다.그런데 이 바위 윗부분에 지름 1.5m 폭이 40cm 정도로 바위 윗부분에서 아래로 네모 모양으로 테두리로 암각하고, 가운데 두 줄의 글이 쓰여져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첫 줄을 읽어 내려가면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七十三歲 首陽山人 鄭在鎔은 겨레와....

"여기까지 읽다가 잠시 호흡을 멈췄다. 정재용 이라면 파고다 공원(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다는 그분이 아닌가!~그럼 여기에도 그 역사적인 글을 남겨 놓았단 말인가!~

그런데 두 번째 줄을 읽으면서 적지 않은 실망감을 안겨다 주었다.

"예수 再臨하심을 歡迎萬歲 " 라고 암각 되어 있었다.

즉,"칠십삼세 정재용은 겨레와 예수 재림하심을 환영만세"라고 새겨져 있었다.

혹시,하는 마음에 다른 사람이 아닐까 하는 마음에 그리고 내가 뭘 잘못 알고 있지않나 하여 집에 돌아와 백과사전을 찾아보았다.

정재용 [, 1886.11.6~1976.12.31]

1886년 11월 6일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으며, 경신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10년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긴 뒤, 1919년 3월 1일 파고다공원(지금의 탑골공원)에서 손병희() 등의 민족대표박희도(이갑성() 등의 종교계 대표, 김원벽(강기덕() 등의 학생대표들이 모여 독립선언식을 거행할 것을 알고 약 5,000명의 학생들과 함께 참석하였다.

이날 민족대표들이 독립선언식 장소를 인사동() 태화관()으로 옮기고 나타나지 않아 군중들이 혼란에 빠지자, 팔각정 단상으로 올라가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이에 격앙된 수천 명의 학생과 군중들은 만세를 외치며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이 일로 같은 해 8월 체포되어 평양() 감옥에서 2년 6월형을 선고받고 감옥생활을 하였다. 출옥한 뒤에는 독립운동단체인 의용단()에 참가하여 서광신()·이기춘() 등과 함께 항일운동에 진력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이상 네이버 백과사전)

그의 나이73세라면 1959년에 새겨놓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전문 적인 등반교육을 받지 않고는 오를 수 없는 바위 그렇다면 지금의 리지등반에 가까운 인수봉 북면벽 "고독의 길" 로 오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그러나 이것도 또한 불가능해 보인다. 지금의 등반장비를 갖추었다면 몰라도 일흔셋의 나이에 그때는 그런 등반을 할수 없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수봉의 등반역사를 살펴보면,

현대적 등반 개념이 도입되기 전, 구한말 법무대신을 역임했던 신기선(1851-1909)이 쓴 <유북한기>에 의하면 1898년 어느날 인수봉 바위 집에 기거했던 영남 사람 김씨'가 등반 개념없이 인수봉을 올랐던 것은 분명하다.
현대적 개념으로 인수봉이 초등된해는 1929년 10월 알파인 클럽회원이었던 아처가 36년에 작성한 보고서에 의하면 29년 10월, 자신과 일본인 아마나가,그리고 페이시와 함께 인수봉 북서면(인수C코스로추정)으로 통해 올랐다고 적고 있다.

그는 자신이 다녀갔다고 적은 카드를 유리병 속에 넣어 꼭대기에 남겼는데, 이후 이이야마와 임무가 이것을 꺼내 보았다고 한다.
인수봉 초등을 한 아처는 그 후 자연동굴(현재 고독의길로 추정)을 통해 인수봉 정상으로 가는 길을 찾아내기도 했다.

그 이후 35년 5월 김정태 김금봉 엄흥섭씨가 인수B코스를 개척했고, 36년 5월 박 순만 오오우치,오바가 인수A코스를 처음 오른다.
그 이후 등반기록으로 보아 인수봉 개척등반은 59년까지 거의 없었다.

60년 9월 한양대 산악부가 후면 오버행코스를 개척하면서 인수봉은 서서히 긴 잠에서 깨어나 기지개를 펴기 시작한다.

3년 뒤인 63년 9월과 10월 선우중옥 이강오 이본 취나드(Yvon Chouinard)에 의해 취나드A, B코스가 개척되자 당시 가장 어려운 코스로 평가받았다. 다음해 6월 서울 문리대 산악부가 동남면 대침니를 개척한 후 인수봉 개척등반은 66년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이상 월간 사람과 산 1999년12월호 참고자료)
 
그때 당시는 등반 장비라는것이 별로 없었을 터인데도 여기까지 어떻게 올라왔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전문 암벽등반가도 아닌 분이 용케도 여기까지 올라와 새겼는지,
아니면 후세에 다른 사람이 새겼는지는 아래 백운봉에 새겨진 3.1운동 암각문과 이 글씨체와 비교하여 보기 바란다.
그리고 글 내용 중에 보면 백운봉의 3.1운동 암각문에서 "수양진인(首陽眞人)"에서 이곳은 "수양산인(首陽山人)"으로 바뀌었다.

그럼 왜 이런 글귀를 이런 곳에 새겨 놓았을까? 그리고 과연 백운봉의 3.1운동 암각문 처럼 과연 보존할 가치가 있을까?
물론 이곳은 백운봉처럼 사람의 발길이 많이 닿지 않은곳이며 또한 그곳에 누가 올라가 보는경우도 드물다.나 또한 수 없이 인수봉을 올랐지만 이날 처음으로 발견한 것이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한, 삼각산 백운봉(백운대) 정상에 가면 태극기가 보이는데 정상에 오르기 전에 인수봉이 가장 가까이 보이는 오른쪽 끝에 3·1 운동 암각 문에 대한 안내문이 서 있다.
이 3·1 운동 암각문은 백운봉 정상에 새겨져 있는데 독립운동가인 정재용 선생이 3·1 운동의 역사적 사실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새겼다고 한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獨立宣言記事
 
己未年三月一日朝鮮獨立宣言書作成 
 
六堂 崔南善 也
 
庚寅生
 
己未年三月一日塔洞公園
 
獨立宣言萬歲先昌
 
海州 首陽眞人 鄭在鎔 也
 
丙戌生   

독립선언기사
기미년3월1일 조선독립선언서 작성
육당 최남선 야
경인생
기미년3월1일 탑동공원
독립선언 만세선창
해주 수양진인 정재용 야
병술생

가로 1.2m, 세로 3m 크기에 전체 총69자, 해서체로 쓰인 이 내용은 정재용선생이 일제의 눈을 피해 몰래 새긴 것인데 바위바닥 네 귀퉁이에 '경천애인(敬天愛人)' 네 자를 새겨 각을 잡은 다음, 그 안에 '독립선언문은 기미년 2월 10일 육당 최남선이 썼고, 3월 1일 파고다공원에서 정재용이 독립선언만세를 이끌었다(번역문)' 는 내용의 글이 새겨져 있다.

백운대에 오르는 등산객 대부분은 이곳에 이런 역사적인 기념물이 있는지 조차도 모른다. 설사 알더라도 좁은 백운대 정상에서 자신들의 안전을 위하여 할 수 없이 짓밟게 되고, 개중엔 내가 한번 밟았다고 해서 이게 어떻게 망가지고 훼손되겠어? 라는 생각도 하는가 보다. 그래서인지 그동안 모진 비바람에다 수많은 등산객들의 발길에 닳고 닳아 이젠 글씨를 판독하기도 힘들 정도로 훼손되고 있다.

얼마 전까지는 네귀퉁이 쇠막대에 쇠줄로 줄을 쳐 놓아 사람들의 발길을 닿지 않게 해놓았으나 현재는 그 쇠줄도 훼손되어 등산객의 발길에 짓눌려 그 훼손이 심각한 상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삼각산 인수봉 정상의 암각문이 새겨져 있는 부분 적색표시 사람이 서있는 부분에 새겨져 있다.

그럼 인수봉 정상에 새겨놓은 글씨는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것도 역사적인 기록일까? 아님 그냥 낙서에 불과 하는 걸까?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Posted by 古山
:
BLOG main image
Rock Climbing Communications. by 古山.

카테고리

Alpinism (283)
Rock Climbing (105)
Climbing image&movie (35)
Climbing World (36)
Rock Concept map (2)
Mountain Climbing (24)
Mountain information (12)
Mountain Concept map (0)
Mountain Club story (16)
weight training (30)
Wellbeing diet (13)
scenery photo (4)
proximity photographing (1)
useless (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otal :
Today : Yesterday :